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

봄철 강아지 진드기 예방법 완벽 가이드

by ipetstory 2025. 4. 10.
반응형

 

날씨가 따뜻해지는 봄철은 반려견과 산책하기에 좋은 계절이지만, 동시에 진드기의 활동이 활발해지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진드기는 피부 질환, 빈혈, 심지어 전염병까지 유발할 수 있어 사전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봄을 대비한 강아지 진드기 예방의 모든 것을 안내해 드립니다.

1. 진드기가 위험한 이유

진드기는 강아지의 피부에 달라붙어 피를 빨며 각종 질병을 매개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질병으로는 바베시아증, 라임병, 아나플라즈마증 등이 있으며, 심할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작고 숨어 있는 진드기는 눈에 띄지 않아 더욱 위험합니다.

2. 봄철 진드기 활동 시기

진드기는 보통 3월부터 11월까지 활동하지만, 특히 4월~6월은 급격히 개체 수가 늘어나는 시기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기온이 10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시점부터 야외 풀숲, 공원, 산책로에서 쉽게 접촉할 수 있습니다.

3. 진드기 예방법 TOP 5

① 정기적인 구충제 투여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진드기 예방약을 정기적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경구약, 바르는 약, 목걸이 타입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보호자의 환경과 강아지 성격에 맞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대표 제품: 넥스가드, 브라벡토, 프론트라인 등
  • 사용 주기: 보통 1개월~3개월 간격

② 산책 후 털과 피부 확인

산책 후에는 강아지의 귀, 발가락 사이, 배 주변, 겨드랑이 등을 꼼꼼히 확인하고, 브러싱으로 털 사이를 정리해 주세요. 진드기는 피부에 붙어 있을 수 있으므로 눈으로 직접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③ 야외 활동 제한

봄철에는 풀숲이나 잔디밭 등 진드기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이른 아침이나 해질 무렵은 진드기 활동이 활발한 시간이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④ 진드기 기피 스프레이 활용

산책 전 반려견에게 진드기 기피제를 뿌리면 효과적으로 접근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반려견 전용 제품을 사용하고, 얼굴 주변은 손에 묻혀 가볍게 발라주세요.

⑤ 주변 환경 관리

마당이나 베란다 등 강아지가 자주 머무는 공간은 잔디를 짧게 유지하고, 해충 방지용 약제를 주기적으로 사용하여 서식 환경을 차단해야 합니다.

4. 진드기에 물렸을 때 대처법

  • 직접 제거 시 주의: 핀셋으로 진드기의 머리 부분을 조심스럽게 제거하며, 도중에 터뜨리면 감염 위험이 높아집니다.
  • 수의사 내원 권장: 진드기 제거 후에도 피부 염증, 열, 무기력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세요.
  • 물린 부위 소독: 진드기를 제거한 부위는 반드시 <strong소독제를 이용해 관리하고, 다른 부위로 확산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5. 진드기 예방 관련 Q&A

  • Q. 진드기 예방약은 모든 견종이 사용 가능한가요?
    A. 대부분의 예방약은 견종과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어린 강아지나 알레르기 체질일 경우 수의사와 상담 후 사용하세요.
  • Q. 사람도 진드기로부터 감염될 수 있나요?
    A. 네, 진드기는 사람에게도 전염될 수 있는 질병을 옮길 수 있으므로, 반려견의 진드기 예방은 가족의 건강을 지키는 일이기도 합니다.

6. 결론

진드기는 작지만 강아지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해충입니다. 봄철 산책이 즐거운 추억이 되기 위해서는 사전 예방이 필수입니다. 예방약 사용, 외출 후 체크, 생활 공간 관리 등 간단한 습관만으로도 진드기로부터 반려견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습니다. 올해 봄도 건강하고 쾌적하게 보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